25 September 2024

From Seoul to Miami: Contemplating the “Boundaries”

By Yonwoo Kim

Cross
Installation View of White Noise: Goyoson, Hayne Park, 'Piu Forte,' 2023. Photo by Haeran Lee

“In the U.S., the independent, commercial, and institutional art scenes seem to collaborate quite organically. When WHITE NOISE was considering whether to participate in Frieze Seoul, it still felt almost radical for an independent space to join a commercial art fair.” said Director Jungmin Cho, one of the guest co-curators of Untitled Art this year, during an interview. To provide additional context to her statement, one cannot help but reflect on the shifts that have taken place in Korea’s art scene, particularly in Seoul, roughly over the past decade. WHITE NOISE, the independent art space she has been running since 2018, took part in the ‘Focus Asia’ section of Frieze Seoul, which invited emerging spaces to showcase artists based in Asia. Reflecting on this, it strikes me that it’s only recently that we have begun to see non-profit independent spaces or young artists appear in major art fairs like Frieze in Korea.

As someone who has studied the art scene in Seoul shaped by previous generations, and as an active participant and observer since the mid-2010s while navigating between institutions and independent spaces, I would like to briefly reflect on the landscape of the Korean art scene that I have seen and experienced. Let’s start from the late 1990s when the concept of ‘independent spaces’ first emerged. These spaces, then known as ‘Dae-an Gong-gan (alternative spaces)’, supported artists who were alienated from both institutional and commercial art worlds. They served as places for new discourses and experimental practices, often driven by a clear, shared mission. However, as time passed, the alternatives they proposed were either absorbed by the institutional system, or they faced financial challenges that made them difficult to sustain. Within less than a decade, only a few of these spaces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It was not until the early to mid-2010s that small independent spaces began to reappear sporadically across Seoul. At some point, they we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in-saeng Gong-gan (new spaces)’. While Dae-an Gong-gans of the previous generation were driven by a mission to challenge or reform the mainstream art world, these new spaces had no common orientation but rather operated with their own approaches to showcase their work. Although these spaces had different origins and characteristics, a few traits loosely connected them: many were run by artists or curators born in the 1980s and 90s, their exhibitions and spaces were promoted via social media, and most were located in areas with relatively lower rent. Though distinct from commercial galleries that primarily focused on generating profit, some spaces sold artworks directly or held joint, fair-like events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Back then, it was quite common to visit these exhibitions, inquire about the price of a piece you liked, and purchase works by young artists at relatively affordable prices during events resembling art fairs. In retrospect, the boundaries between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mainstream and alternative may have already gradually begun to blur.

Pace Gallery Seoul, opened in 2017. Courtesy of Pace Gallery.

In the latter half of the 2010s, many once-thriving Sin-saeng Gong-gans closed down, but today, even more independent spaces centered around young artists and curators are continually opening. According to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KAMS), around 90 young art spaces have opened since 2020, which is hard to believe for a city as small as Seoul. With the infusion of large-scale capital paying attention to the activities of previous spaces, art fairs focused on young artists have also emerged like a trend. Not only that, the huge-scale international art fair Frieze Seoul has landed in Korea, and overseas mega-galleries such as Pace and Gladstone have opened new branches in Seoul. In this transitional environment where international art fairs, commercial galleries, and small independent spaces coexist, it seems natural that Cho, as someone has been running an independent art space, has been contempla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scene and the independent scene,’ as well as ‘what role commercial activities can play in creating a sustainable community.’

Untitled Art, Miami Beach 2023. Courtesy of World Red Eye.

Today, the trend in the art market of more art fairs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young and experimental artists as well as nonprofit spaces, shows that these concerns have persisted not only in Korea but across the global art world, transcending borders and spanning both commercial and nonprofit sectors. Cho noted, “Untitled Art, in particular, is a fair that strives to reflect the trends and discourses of the art world even within the highly commercial Miami art market,” adding, “We actively communicate with participating spaces to work toward better proposals, provide practical advic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host region; this active advising seems to be a way to effectively convey the curatorial theme.” The theme of this year’s Untitled Art, which she co-curated, is ‘East Meets West.’ This year, eight spaces from Korea are participating, and the presence of Asia-based spac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last year. Western galleries are also showcasing more artists with Asian or Asian diaspora backgrounds. Cho mentioned that the emergence of new international art fairs like ‘Frieze Seoul’, ‘Tokyo Gendai’, and ‘Singapore Art SG’, along with the growing prominence of Asian artists –including Koreans–in various places, might have contributed to this year’s theme selection. “Interest in Korean and Asian artists seems to have grown, not only in large institutions but also in small independent spaces and galleries.” She further noted, “Asian populations, with their long history of immigration and diaspora, have cultures and histories embedd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Today, they seem to be a bridge connecting older and newer generations. In addition, Asia’s history of colonization has led many artists to explore identity and roots, and their works resonate with the public because they reflect the context of today’s globalized, technology-driven era.”

Lee SeJun, ‘A person trying to catch hope,' 2018. Courtesy of Space Willing N Dealing, Seoul.

Of course, despite this progress, Korean or Asian art still tends to be focused on the older generation in the global art market. Thus, Cho curated the NEST section this year to introduce a wider variety of younger, more experimental galleries and small independent art spaces. NEST is a section where Untitled Art’s curatorial mission is particularly emphasized, and it has gradually expand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paces over the past few years. Some of the prominent participants this year include ‘CON_’ from Tokyo and ‘starch’ from Singapore. ‘CON_’, a young gallery in Japan that opened in 2022, frequently interacts with Korean artists and presents a wide rang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sts catering to young collectors. ‘starch’, meanwhile, is an artist-run-space actively engaged in Singapore’s local art scene by focusing on community building. Another notable space in this year’s NEST is ‘Space Willing N Dealing’ from Seoul. Originally started as a non-profit space introducing contemporary Korean artists in 2012, it has recently taken a more commercial approach. It has been a vital platform that has grown alongside Korean artists from the 1970s and 80s, fostering a strong community over the years.

“As someone who runs an independent art space, I’ve always been aware that it’s often challenging for these spaces to participate in large-scale art fairs due to circumstances. However, if they have the means and are willing to engage in commercial activities, I wanted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them to introduce themselves to a broader audience. Personally, I’ve reflected on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in fairs through my past experiences. Art fairs serve as platforms that bring together various scenes supported by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I believe participating spaces can take part in fairs as a way to support the artists they believe in, and further, as a way to contribute to the broader art world. And the role of fairs as ‘platforms’ that carry out this remains essential.”Through a candid conversation with Cho, I feel like I can gradually see some hints about the direction the art world should take, especially at this time when all kinds of boundar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____________

“미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독립 예술 공간들과 상업 미술계, 기관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교류하며 일한다는 느낌을 많이 받아요. 화이트노이즈가 프리즈 서울에 참여를 고민했을 때는, 비영리 독립 공간으로서 상업적인 아트페어에 참여하는 것이 여전히 굉장히 급진적인 일처럼 느껴졌거든요.” 올해 언타이틀드 아트에 공동 큐레이터로 초청된 조정민 디렉터와의 인터뷰를 부연하기 위해서는 서울을 중심으로 지난 10여 년간 한국의 미술계에 일어난 변화를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2018년부터 그가 운영해온 독립 예술 공간 ‘화이트노이즈’는 아시아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들을 선보이기 위해 젊은 공간들을 초청한 작년 프리즈 서울의 ‘포커스 아시아' 섹션에 참여했다. 새삼스럽지만, 한국에서 이처럼 비영리 독립 공간이나 젊은 작가들을 프리즈 같은 대형 아트페어에 만나볼 수 있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앞선 세대들이 일궈온 서울의 미술계에서 공부해 온 입장으로서, 그리고 2010년대 중후반부터 기관과 독립 예술 공간을 오가며 이곳에 몸담아온 일원이자 관람객으로서, 그간 보고 경험해 온 한국의 미술계를 간단히 회상해 보고자 한다. 먼저 ‘독립 예술 공간(independent art spaces)’과 같은 개념이 처음 등장한 1990년대 말 즈음부터 시작해 본다. 당시의 공간들은 제도권과 상업 미술계에서 소외된 작가들을 지원하는 ‘대안공간(Dae-an Gong-gan, alternative spaces)'으로서, 비교적 뚜렷한 공동의 목적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담론과 미술 실천을 위한 장소로 기능했다. 그러나 그들이 제시한 대안점들이 제도권에 흡수되어 유효성을 잃거나, 혹은 재정상의 문제로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현재까지 운영되는 소수의 공간들만 남게 되기까지에는 10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 다시 서울 곳곳에 작은 공간들이 산발적으로 문을 열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 초중반에 이르러서였다. 그리고 언젠가부터 이들은 ‘새로 생긴 공간’을 의미하는 ‘신생공간(Sin-saeng Gong-gan, new spaces)'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전 세대의 대안공간들이 기존의 주류 미술계에 저항하려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던 반면, 신생공간들은 하나의 공통된 지향점이 있다기보다는 작업을 선보이기 위해 마련한 공간을 각자의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에 가까웠다. 주로 8-90년대생 작가나 기획자들에 의해 운영되었다는 점, SNS를 통해 홍보와 관객 유입이 이루어졌다는 점, 대부분 공간이 비교적 렌트비가 저렴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은 태생과 성격이 서로 다른 이들을 느슨하게 연결해 주는 몇 가지 특징이었다. 물론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는 갤러리의 행보와는 구분되지만, 일부 공간들은 직접 작품을 판매하거나 서로 협력하여 자체적인 미술 장터를 개최하기도 했다. 상업 갤러리가 아닌 곳에서 전시를 둘러보다가 마음에 드는 작품의 가격을 묻고, 페어와 유사한 행사에서 젊은 작가의 작업들을 비교적 감당 가능한 가격에 구입하는 일은 당시에 지인들과 흔히 공유할 수 있던 경험이었다. 돌이켜보면, 상업과 비상업, 주류와 대안이라는 기존의 경계는 이때부터 이미 서서히 흐려지기 시작했는지도 모르겠다.

2010년대 후반부에 이르러 한때 번성했던 많은 신생공간들이 운영을 종료했지만, 오늘날에도 젊은 작가나 기획자를 주축으로 한 많은 독립 예술 공간들은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다. 한국의 예술경영지원센터에 따르면 2020년 이후 문을 연 청년예술공간만 90여 곳에 이른다고 한다. 서울처럼 작은 도시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는 믿기 어려운 숫자다. 과거 공간들의 활동에 주목한 대규모 자본이 더해져, 젊은 작가 위주의 아트페어도 유행처럼 생겨났다. 그뿐인가, 초대형 국제 아트페어인 프리즈 서울이 한국에 상륙했고, 페이스, 글래드스톤 등 해외 메가 갤러리들이 서울에 지점을 새로이 열었다. 이처럼 국제 아트페어와 상업 갤러리, 그리고 작은 독립 예술 공간들이 본격적으로 공존하게 된 과도기적 환경에서 공간을 운영해 온 조정민 디렉터가 ‘아트씬과 인디펜던트씬의 관계’와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를 만들어 가는 데 상업적 활동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고민해 온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보인다.

오늘날 전 세계 미술시장에서 보다 많은 아트페어들이 젊고 실험적인 작가와 비영리 공간의 참여를 장려하는 추세는, 이러한 고민이 한국뿐만 아니라 국경을 초월해 영리와 비영리를 넘나드는 미술계 전반에서 지속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조정민 디렉터는 이에 “특히 언타이틀드 아트는 대단히 상업적인 마이애미의 미술시장에서도 미술계의 경향성과 담론을 반영하려고 노력하는 페어”라며, “참여 공간들의 더 나은 프로포절을 위해 주최 측이 함께 고려하고, 개최 지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조언들을 제공하며 대화를 지속하는 적극적인 어드바이징이 큐레토리얼 테마를 잘 보여주는 수단으로 연결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가 공동기획을 맡은 올해 페어의 주제는 ‘East Meets West’로, 한국에서만 다섯 개의 공간이 참여하는 등 작년에 비해 확실히 아시아를 기반으로 한 공간들의 참여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서양권에서 참여하는 갤러리 또한 아시아 및 아시안 디아스포라 백그라운드를 가진 작가를 선보이는 경우가 많아졌다. 조정민 디렉터는 ‘프리즈 서울’, ‘도쿄 겐다이’, ‘싱가포르 아트 SG’와 같은 새로운 국제 아트페어들이 등장하면서 아시아의 미술 시장이 점점 커져가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작가들의 존재감이 다양한 곳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 점을 주제 선정의 배경으로 들었다. 특히 “대형 기관뿐만 아니라, 작은 독립 공간이나 갤러리에서도 한국 및 아시아 작가들에 대한 관심이 이전보다 높아진 것 같다”며, “긴 이민과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가진 아시아 인구의 문화와 역사가 전 세계적 곳곳에 녹아들어 있기에, 오늘날 이들이 역사적으로 구세대와 현세대를 잇는 연결고리가 되는 것 같다. 또한 아시아의 역사는 많은 식민지화가 이루어진 부분이 있어, 유독 자아의 정체성이나 뿌리를 탐구하는 작업 경향이 많이 보인다. 이들의 작업이 오늘날의 글로벌화되고 기술이 독점하는 시대의 문맥과 유사한 지점이 있어 많은 대중에게 공감을 얻는 것 같다”고 부연했다.

물론 이러한 약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미술시장에서 한국 혹은 아시아 미술은 윗 세대에 머물러 있는 경향이 있다. 이에 조정민 디렉터는 이번 페어를 통해 조금 더 젊고 실험적인 다양한 상업 갤러리와 작은 독립 예술 공간들을 다양하게 소개하기 위한 ‘네스트’ 섹션을 꾸렸다. 네스트는 언타이틀드의 큐레이토리얼 미션이 특히 강조되어 있는 섹션으로, 처음에는 작은 규모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참여 공간의 수를 늘리며 그 규모를 확장해 왔다. 올해 네스트에 참여하는 대표적인 공간 몇 곳으로는 도쿄의 ‘Con_’과 싱가포르의 ‘s t a r c h’를 들 수 있다. 2022년에 오픈한 일본의 젊은 갤러리 ‘Con_’은 국내 작가들과 종종 교류해 온 공간으로 젊은 컬렉터를 베이스로 다양한 국내외 작가군을 선보여 왔으며, ‘s t a r c h’는 커뮤니티 빌딩에 초점을 두고 싱가포르의 미술계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아티스트런스페이스다. 2012년 처음 문을 연 서울의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또한 올해의 네스트 섹션에서 만나볼 수 있는 반가운 공간 중 하나다. 한국 현대미술 작가를 소개하는 비영리 공간으로 시작하여 최근에 이르러 상업적 행보를 걷기 시작한 윌링앤딜링은 7-80년대 세대 국내 작가들과 커뮤니티를 이루며 오랜 기간 함께 성장해 온 중요한 공간이다.

“아무래도 제가 독립 예술 공간을 운영하다 보니, 이런 공간들이 대형 아트페어에 참여하는 일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는 걸 알아서 조심스러운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이들이 여건이 되고 상업적 활동을 할 의향이 있다면, 이러한 공간들을 좀 더 다른 곳에서 다양한 관객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 싶었어요. 개인적으로도 지난 경험을 통해 페어에 참여하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아트페어는 다른 나라, 다양한 지역에서 지지하는 여러 씬을 한데 보여주는 장의 역할을 합니다. 많은 이들이 자신들이 지지하고 싶은 작가, 나아가 미술계 전체를 지원하는 차원에서 페어에 참여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이러한 역할을 가진 ‘장’으로서 아트페어는 여전히 중요하다고 봅니다.” 조정민 디렉터와 나눈 허심탄회한 소회에서, 모든 경계가 점점 흐려지는 오늘날 미술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단서가 조금씩 보이는 것 같다.

Yonwoo Edie Kim is a curator and writer based in Seoul and New York. She has previously worked at diverse art institutions, including the Curatorial Department at SongEun ArtSpace, Buk-Seoul Museum of Art, and the Department of Special Programming & Affiliate Programs at MoMA. In 2018, she served as Co-Director of Weekend, a Sin-saeng Gong-gan in Seoul dedicated to showcasing and supporting young and emerging Korean artists. Kim has also curated a range of independent projects, including a co-curated exhibition ‘In/visible: Things to be Discussed’, which was selected through an open call and presented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New York. Currently, Kim contributes as a freelance writer to various art and culture magazines and resides in New York.